커뮤니티
산악문화
[시와수필] 분류

견백동이-백석산 산악시조(산음가 3-4)/半山 韓相哲

작성자 정보

  • 한상철 작성 3,155 조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4. 견백동이(堅白同異)

-궤변에 놀라 산을 유산함


새까만 산 눈동자山眼으로 비치다가

하얗게 찍힌 일점(一點) () 다이아로 반짝이니

고드름 부러진 소리에 산을 그만 유산해


* 백석산(白石山 1,364.6m); 강원 평창. 삼각점은 1,260고지 헬리포트에 있고, 실제 정상은 그 보다 600m 남쪽에 위치한다. 흰 바위가 있어 백석산이라 하는데, 겨울에 눈이 오면 바위를 눈이라 하다, 만지면 눈을 다시 바위라 우겨대는 궤변만 늘어놓는 산이다...

* 견백동이지변(堅白同異之辯); 전국시대 조()나라 공손 용(恭遜龍)이 창도(唱導)한 궤변이다. 눈으로 돌을 볼 때에는 빛이 흰 것을 아나, 굳은 것은 모른다. 손으로 돌을 만질 때에는 그 굳은 것은 아나, 흰 것은 모른다. 따라서 견백석(堅白石)의 존재는 동시에 성립할 수 없다는 개념의 논법(論法)으로서, ()를 비(), ()를 시(), ()을 이(), ()를 동()이라고 우겨대는 변론(辯論)-(순자 수신 편).

* 山書242013.

* 일반시조와 중복표현으로 2016. 4. 27 종장후구 수정.

* 졸저 한국산악시조대전부제 산음가 산영 제1-224(196). 2018. 6, 25 도서출판 수서원.

-----

Sumbaekdongi (堅 白 同 異)

-Enterestado sobre la sofisticación,

 

Los ojos del Sakka Mann [] (]

Es brillante con un diamante blanco con un diamante negro blanco

Detén la montaña en un sonido roto

* 2025. 1. 29 서반어 번역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서울특별시산악연맹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182 서울시체육회207호 | Tel.02-2207-8848 | Fax.02-2207-8847 | safkorea@hanmail.net
    Copyright 2021 Seoul Alpine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