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산악문화
[시와수필] 분류

우이구곡(牛耳九曲) 시조(명승보 25)/반산 한상철

작성자 정보

  • 한상철 작성 3,468 조회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25. 우이구곡(牛耳九曲) 시조 

1곡 만경폭

2곡 적취병

3곡 찬운봉

4곡 진의강

5곡 세묵지

6곡 월영담

7곡 탁영암

8곡 명옥탄

9곡 재간정

* 조선시대 홍양호(洪良浩 1724~1802)의 이계집(耳溪集)에 나오는 우이구곡을 국립공원의 허가를 받아 2008.5.17() 한국山書會 회원들과 같이 답사하였다. 현재의 우이동계곡 상류에 해당하는데, 대부분 출입이 금지돼있다. 그 감회를 당시의 풍광으로 되돌아가 우리나라 최초로 시조로 한번 읊어보았다. 각종 구조물의 설치, 물길, 수량(水量) 지형의 변화 등으로 비록 옛 정취를 느끼지 못하지만, 자연을 대하는 정서는 조상이나 우리나 별반 차이 없다 여겨져, 타임머신 속에서 이를 현대감각으로 되살려본다. 같은 회원이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김윤우 전문위원의 자문을 구했다. (2008. 11. 18)

1곡 만경폭(萬景瀑)

황금색 빗장뼈에 명주천 걸쳤어라

쏟아진 우레 소리 삼각산을 뒤흔들고

비류(飛流)한 매화물방울 은하수를 뿌린 듯

* 폭포 전체가 우람한 미륵불을 닮아, 일명 미륵폭포라 부른다.

* 이백의 유명한 시 망여산폭포수2수 중 제 3,4-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 의시은하락구천(疑是銀河落九天)- “폭포수 날아 흘러 밑으로 삼천 자, 아마도 은하수가 하늘에서 떨어진 듯을 떠오르게 한다.

* 폭포에 새겨진 암각 글씨 미륵폭동유(彌勒瀑同遊)’ 趙顯命 李周鎭 丙寅 仲夏-조현명(1690~1752)과 이주진(1692~1749)1746년 여름 함께 놀다. 바로 밑 추현(追現)’ 李殷 丁酉 孟冬-1777년 한겨울 이은이 선친 이주진에 이어 오다. 누가 새겼는지 몰라도 예서체로 잘 썼다.

2곡 적취병(積翠屛)

급하면 돌아가라 서두르면 아수라(阿修羅)

달아난 물줄기는 각시담()을 절구질

비취(翡翠)랴 바위이끼엔 팔만 번뇌 켜켜이

* 물이 서서히 흐르다가, 여기에 이르면 갑자기 절구질을 하듯 급하게 흐른다.

* 병풍처럼 펼쳐진 바위에 낀 푸른 이끼는 마치 비취 같다.

3곡 찬운봉(攢雲峰)

물밑은 수정궁궐 적료(寂寥) 흐른 돌단풍숲

경전을 쌓아놓고 면벽(面壁)한 선승(禪僧)일까

구름을 뒤집어쓴 채 수행하는 층층암(層層岩)

* 계류 옆 구름모자를 쓴 층암절벽에 돌단풍이 참 보기 좋다.

4곡 진의강(振衣崗)

종소리 토한 옥류(玉流) 다래향 그윽한 뫼

뗏목도 없이 건넌 피안(彼岸)의 반석 위서

홍진(紅塵)은 털지 못하고 속바지만 턴다네

* 진의는 세속을 벗어나 뜻을 고상하게 한다는 뜻이다. 속절없이 내의에 묻은 먼지만 턴다네...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신목자필탄관 신욕자필진의); 머리를 감은 사람은 갓 끈을 털어서 쓰고, 몸을 씻은 사람은 옷을 털어서 입는다. (굴원의 어부사에서)

* 진리에 도달하면 그 수단인 뗏목조차도 버려야 한다.

* 진의강(盤石-반석) 주위에 한자로南無阿彌陀佛‘(나무아미타불)이란 글자가 새겨진 가끔은 젊은이들이 볼더링을 하는 종바위가 있다.

5곡 세묵지(洗墨池)

먹자루 씻다 말고 거나히 취한 한량

계곡주 부어 마신 수마노(水瑪瑙) 구유에는

쪽빛은 보이지 않고 뽀얀 정액(精液) 점점이

* ‘먹을 씻는 못으로 구유 혹은 여자의 그 것처럼 생겼는데, 씻다만 먹자루(?)는 도시 어떻게 했나?

* 계곡주; 좀 쑥스럽긴 하나, 예전 주석(酒席)에서 장난기로 술 따르는 여자 유방 사이 가슴에 술을 붓곤 그 밑에 컵을 밭쳐 마신 술을 이르는데, 요즈음도 그런 풍습이 있는지 모르겠다.

* 원전(原典)에는 계곡 왼편에 솟은 암반이 옥경대(玉鏡臺)인데, 이를 가리킨다. 세묵지는 이의 한 부분으로 본다. 한국산서회 홍하일 발표. 다음카페 북리뷰 다시 우이동을 가다옥경대편.(2014. 9. 9)

6곡 월영담(月影潭)

백련(白蓮) 핀 달그림자 솔바람 시원한데

흘기듯 누에미소 잡으려면 도망가는

얄랑인 잔물결에도 요염하지 않는 임

* 백련처럼 고운 연인 L여사를 그리며.. 오직 흰 연꽃만 약이 된다. 작약(함박), 접시꽃, 도라지도 같다. 흰 산작약(山芍藥)은 산삼만큼 귀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사)서울특별시산악연맹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182 서울시체육회207호 | Tel.02-2207-8848 | Fax.02-2207-8847 | safkorea@hanmail.net
    Copyright 2021 Seoul Alpine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
알림 0